맨위로가기

국제 표준 직업 분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는 국제 노동 기구(ILO)에서 개발한 직업 분류 시스템으로, 직무와 숙련도에 따라 직업을 체계적으로 분류한다. ISCO-08은 10개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로 구성되며, 각 직업의 특성과 요구되는 기술 수준을 기준으로 한다. 이 분류는 통계, 노동 시장 관리, 직업 교육 및 지침 등에 활용되며, 국가 간 노동 이동 관리와 구직 활동에도 적용된다. ISCO는 특정 분야의 분류 기준이 되며, 전 세계 노동 정보의 기준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용 분류 - 정규직
    정규직은 기간을 정하지 않고 고용되어 정년까지 고용이 보장되는 근로 형태로서, 한국 사회에서는 유교적 가치관이 반영된 노사 관계에 영향을 주었으며, 법적으로는 사용자의 해고가 제한되고 해고 예고 의무가 부과되어 근로자가 보호받고, 특정 조건 하에 무기 계약 전환 신청이 가능하다.
  • 고용 분류 - 자영업
    자영업은 개인 사업자가 자신의 사업체를 운영하는 형태로, 설립자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각국은 자영업자에 대한 세금, 법적 책임, 지원 정책 등을 다르게 적용한다.
  • 직업 - 형사
    형사는 범죄 해결을 위해 단서와 기록을 조사 및 평가하며, 경찰 소속으로 범죄 수사, 범인 검거, 증거 수집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일부는 사립탐정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 직업 - 법관
    법관은 법원에 소속되어 소송 사건을 심판하고 당사자 간의 갈등을 법적으로 해결하는 헌법기관인 공무원이며, 대통령이 임명하고 대법관회의의 동의를 거쳐 대법원장이 임명하며, 법 적용 과정에서 법 해석을 통해 법의 흠결을 보충하고 법을 창조하기도 한다.
국제 표준 직업 분류

2. ISCO-08 구조

ISCO-08은 직업을 10개의 대분류로 나누며, 각 대분류는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로 구성된다. 직업 분류의 주요 기준은 직무와 직무 수행에 필요한 기술 수준 및 전문화이다.[20]

ISCO-08의 10개 대분류는 다음과 같다.

1. 관리자

2. 전문가

3. 기술자 및 준전문가

4. 사무 보조원

5. 서비스·판매 종사자

6. 농림어업 종사자

7. 기능공 및 관련 직업 종사자

8. 설비·기계 운전·조립공

9. 단순 작업 종사자

10. 군인

각 대분류는 다시 세분류, 소분류, 단위 그룹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분류 체계는 직업의 과업과 의무를 유능하게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술 수준과 전문성을 기준으로 한다.[8][9]

ILO는 ISCO가 통계적 목적뿐만 아니라, 국가 간 노동자 전출입 관리, 직업 교육 프로그램 및 직업 지침 관리 등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설계되었다고 설명한다.[8][9]

ISCO는 교육, 농업, 헬스케어 정보 산업 등 특정 분야의 응용 분류이자, 많은 국가적 직업 분류의 기초가 된다.[10] ISCO-08은 전 세계 노동 관련 정보의 기준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2010년 전 지구적 국가 인구 센서스에 적용되었다.[11][12]

2. 1. 관리자 (Managers)

관리자는 조직의 정책 결정, 계획 수립, 조직 운영 및 감독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1] 한국에서는 기업, 정부기관, 비영리단체 등 다양한 조직의 고위 관리직, 임원 등이 해당된다.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08)에 따르면 관리자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대분류소분류
11 최고 경영자, 고위 관리 및 입법가111 입법가 및 고위 관리, 112 전무 이사 및 최고 경영자
12 행정 및 상업 관리자121 비즈니스 서비스 및 행정 관리자, 122 판매, 마케팅 및 개발 관리자
13 생산 및 전문 서비스 관리자131 농업, 임업어업 생산 관리자, 132 제조업, 광업, 건설업 및 유통 관리자, 133 정보 통신 기술 서비스 관리자, 134 전문 서비스 관리자
14 접객업, 소매업 및 기타 서비스 관리자141 호텔 지배인, 142 소매업, 도매업 관리자, 143 기타 서비스 관리자


2. 1. 1. 최고 경영자, 고위 관리 및 입법가

최고 경영자, 고위 관리 및 입법부 의원은 기업, 정부, 의회 등에서 최고 의사 결정 및 정책 수립을 담당하는 직업군이다.

  • 11 최고 경영자, 고위 관리 및 입법가
  • 111 입법가 및 고위 관리
  • 112 전무 이사 및 최고 경영자

2. 1. 2. 행정 및 상업 관리자

국제 표준 직업 분류에서 행정 및 상업 관리자는 기업 경영, 행정, 마케팅, 영업 등 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직업군이다. 이들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121 비즈니스 서비스 및 행정 관리자: 대(對) 사업소 서비스 및 총무 관리자를 포함한다.
  • 122 판매, 마케팅 및 개발 관리자


한국의 대기업에서는 전문 경영인 체제가 확산되면서, 이 분야의 전문성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2. 1. 3. 생산 및 전문 서비스 관리자

생산 및 전문 서비스 관리자는 다음을 포함한다.

  • 131 농업, 임업어업 생산 관리자
  • 132 제조업, 광업, 건설업 및 유통 관리자
  • 133 정보 통신 기술 서비스 관리자
  • 134 전문 서비스 관리자

2. 1. 4. 접객업, 소매업 및 기타 서비스 관리자

국제 표준 직업 분류에서 접객업, 소매업 및 기타 서비스 관리자는 호텔, 음식점, 소매점 등 서비스업 운영 및 관리를 담당하는 직업군이다.[1] 한국에서는 서비스 산업의 성장과 함께 이 분야의 일자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청년층의 취업 비중이 높다.[1]

  • 141 호텔 지배인
  • 142 소매업, 도매업 관리자
  • 143 기타 서비스 관리자[1]

2. 2. 전문가 (Professionals)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에서 전문가는 높은 수준의 전문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연구, 개발, 교육, 의료, 법률 등 전문 분야의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20] 이들은 일반적으로 특정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경험을 바탕으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며,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ISCO-08은 전문가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20]

  • 21 과학공학 전문가
  • 22 보건 전문가
  • 23 교육 전문가
  • 24 비즈니스 및 행정 전문가
  • 25 정보 및 통신 기술 전문가
  • 26 법률, 사회 및 문화 전문가


각 전문 분야는 다시 세분화되어 다양한 직업들을 포함한다.

2. 2. 1. 과학 및 공학 전문가

과학공학 전문가는 자연과학, 공학 분야의 연구 개발 및 기술 지원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한국은 과학기술 발전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이공계 인력 양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211 물리 및 지구 과학 전문가
  • 212 수학자, 계리사 및 통계 전문가
  • 213 생명 과학 전문가
  • 214 공학 전문가(전기 기술 제외)
  • 215 전기 기술 엔지니어
  • 216 건축가, 계획가, 측량사 및 디자이너

2. 2. 2. 보건 전문가

보건 전문직은 의료, 보건 분야에서 진료, 치료, 예방, 재활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여기에는 의사, 간호·조산 전문직, 전통 의학·대체 의학 전문직, 준의료 종사자, 수의사, 기타 보건 전문직, 의료 보조 전문직이 포함된다.[1] 한국은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높고, 국민건강보험 제도를 통해 의료비 부담을 완화하고 있다.

코드직업
221의사
222간호·조산 전문직
223전통 의학·대체 의학 전문직
224준의료 종사자
225수의사
226기타 보건 전문직
227의료 보조 전문직


2. 2. 3. 교육 전문가

교육 전문가는 학교, 교육 기관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교육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한국은 교육열이 높고, 교사는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직업으로 인식된다.

  • 231 종합 대학·고등 교육 기관의 교원
  • 232 직업 교육 교원
  • 233 중등 교육 교원
  • 234 초등학교·유아 교육 교원
  • 235 기타 교육 전문가

2. 2. 4. 비즈니스 및 행정 전문가

비즈니스 및 행정 전문가는 기업 경영, 재무, 회계, 인사, 마케팅 등 전문 분야의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 24 경영 관리 전문가
  • *241 재무 전문가
  • *242 경영 전문가
  • *243 판매·마케팅·홍보 전문가

2. 2. 5. 정보 및 통신 기술 전문가



정보 통신 기술(ICT) 분야의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 운영, 네트워크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대한민국은 IT 강국으로서, 이 분야의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다.[1]

2. 2. 6. 법률, 사회 및 문화 전문가


  • 261 법률 전문가
  • 262 사서, 기록 보존인, 큐레이터
  • 263 사회·종교 분야 전문가
  • 264 작가, 저널리스트, 언어학자
  • 265 창작 예술가, 음악가, 무대 예술가

2. 3. 기술자 및 준전문가 (Technicians and Associate Professionals)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08)에서 기술자 및 준전문가는 전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특정 분야의 기술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이들은 과학, 공학, 보건, 경영, 행정, 법률, 사회, 문화, 정보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ISCO-08은 기술자 및 준전문가를 5개의 중분류로 나누며, 각 중분류는 다시 소분류로 세분화된다.[3]

중분류 코드중분류명
31과학 및 공학 준전문가
32보건 준전문가
33경영 및 행정 준전문가
34법률, 사회, 문화 및 관련 준전문가
35정보 및 통신 기술자



'31 과학 및 공학 준전문가'의 소분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물리 및 공학 기술자(311)
  • 광업, 제조업 및 건설 감독자(312)
  • 공정 제어 기술자(313)
  • 생명 과학 기술자 및 관련 준전문가(314)
  • 선박 및 항공기 관제사 및 기술자(315)

2. 3. 1. 과학 및 공학 준전문가

과학 및 공학 준전문가는 과학, 공학 분야에서 기술 지원 및 보조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 311 물리 및 공학 과학 기술자
  • 312 광업, 제조업 및 건설 감독자
  • 313 공정 제어 기술자
  • 314 생명 과학 기술자 및 관련 준전문가
  • 315 선박 및 항공기 관제사 및 기술자

2. 3. 2. 보건 준전문가

보건 준전문가는 의료, 보건 분야에서 기술 지원 및 보조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세부 직업군은 다음과 같다.

  • 321 의료·약제 기사
  • 322 간호·조산 준전문직
  • 323 전통·대체 의학 준전문직
  • 324 수의 기사, 조수
  • 325 기타 보건 준전문직

2. 3. 3. 경영 및 행정 준전문가


  • 33 경영 및 행정 준전문가
  • 331 금융 및 수학 준전문가
  • 332 판매 및 구매 담당자 및 중개인
  • 333 비즈니스 서비스 담당자
  • 334 행정 및 전문 비서
  • 335 규제 정부 준전문가

2. 3. 4. 법률, 사회, 문화 및 관련 준전문가

Legal, social, cultural and associate professionals영어는 법률, 사회복지, 문화예술 등 분야에서 기술 지원 및 보조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2. 3. 5. 정보 및 통신 기술자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icians영어는 정보 통신 기술(ICT) 운영 및 사용자 지원, 통신 및 방송 기술을 다루는 직업군이다.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351 정보 통신 기술 운영·사용자 지원 기술자
  • 352 전기통신기술자, 방송 기술자

2. 4. 사무 지원 종사자 (Clerical Support Workers)

사무 지원 종사자는 사무실에서 문서 작성, 자료 정리, 정보 제공 등 일반적인 사무 업무를 지원하는 직업군이다. 이들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며, 조직의 원활한 운영에 기여한다.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08)에 따르면, 사무 지원 종사자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대분류중분류
41일반 사무원, 키보드 입력 사무원
42고객 서비스 사무원
43경리·재고 관리 담당 사무원
44기타 사무 보조원


2. 4. 1. 일반 및 키보드 사무원

일반 및 키보드 사무원은 일반적인 사무 업무 및 키보드 입력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중분류소분류
일반 사무원일반 사무원
비서 (일반)비서 (일반)
키보드 조작원키보드 입력 오퍼레이터


2. 4. 2. 고객 서비스 사무원

고객 서비스 사무원은 고객 응대, 정보 제공, 민원 처리 등 고객 서비스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1]

코드직업명
421금전 출납원, 수금 및 관련 사무원[1]
422고객 정보 관리 종사자[1]


2. 4. 3. 수치 및 자료 기록 사무원

경리·재고 관리 담당 사무원은 회계, 재고 관리, 운송 등 수치 및 자료 기록 관련 사무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1]

이 직업군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1]

  • 431: 경리 담당 사무원
  • 432: 재고·수송 관리 사무원

2. 4. 4. 기타 사무 지원 종사자

위에 분류되지 않은 기타 사무 지원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대분류중분류소분류세분류
444441기타 사무 보조원


2. 5.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Service and Sales Workers)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는 고객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상품을 판매하는 직업군이다. 한국에서는 서비스 산업의 성장과 함께 이 분야의 일자리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연령층이 종사하고 있다.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는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된다.

  • 51 대인 서비스 종사자
  • 52 판매원
  • 53 시중 서비스 종사자
  • 54 보안 서비스 종사자

2. 5. 1. 개인 서비스 종사자

개인 서비스 종사자는 여행, 요리, 미용, 돌봄 등 개인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군이다.

2. 5. 2. 판매 종사자

판매 종사자는 상점, 거리, 시장 등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 521 길거리·시장의 판매원
  • 522 소매점 판매원
  • 523 현금 출납 사무원, 표 판매원
  • 524 기타 판매원

2. 5. 3. 개인 간호 종사자

'''개인 간호 종사자'''는 개인을 돌보고 간호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군이다. 한국 사회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간병, 요양 등 노인 돌봄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개인 간호 종사자 분류
코드직업
531보육 종사자, 교사 보조원
532요양 복지 종사자[1]


2. 5. 4. 보호 서비스 종사자

보호 서비스 종사자는 경비, 보안, 안전 등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군이다.[1]

  • 54 보안 서비스 종사자
  • 541 보안 서비스 종사자[1]

2. 6. 숙련 농업, 임업 및 어업 종사자 (Skilled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Workers)

국제 표준 직업 분류에서 숙련 농업, 임업 및 어업 종사자는 농업, 임업, 어업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작물 재배, 동물 사육, 수산물 채취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이들은 시장 판매를 위한 생산 활동을 하거나, 자급자족을 위한 생산 활동을 한다.

크게 시장 지향적 숙련 농업 종사자, 시장 지향적 숙련 임업, 어업 및 수렵 종사자, 자급자족 농부, 어부, 사냥꾼 및 채집자로 나뉜다.

한국에서는 농업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스마트팜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농업 혁신이 추진되고 있다.

2. 6. 1. 시장 지향적 숙련 농업 종사자

시장에 판매할 목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하거나 동물을 사육하는 직업군이다.

  • 61 시장 지향적 숙련 농업 종사자
  • 611 시장 원예 및 작물 재배자
  • 612 축산 농가
  • 613 혼합 작물 및 축산 농가

2. 6. 2. 시장 지향적 숙련 임업, 어업 및 수렵 종사자

시장 판매를 목적으로 임산물을 채취하거나, 수산물 양식 및 어로 활동 등을 하는 직업군이다.[1]

  • 62 시장 지향적 숙련 임업, 어업 및 수렵 종사자[1]
  • 621 임업 및 관련 종사자[1]
  • 622 어업 종사자, 사냥꾼 및 덫 사냥꾼[1]

2. 6. 3. 자급자족 농부, 어부, 사냥꾼 및 채집자

자급자족 농부, 어부, 사냥꾼 및 채집자는 자급자족을 목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하고, 동물을 사육하며, 수산물을 채취하는 직업군이다.

  • 63 자급자족 농부, 어부, 사냥꾼 및 채집자
  • 631 자급자족 작물 농부
  • 632 자급자족 축산 농부
  • 633 자급자족 혼합 작물 및 축산 농부
  • 634 자급자족 어부, 사냥꾼, 덫 사냥꾼 및 채집자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08)에서 수공예 및 관련 기능직은 수공 기술, 기계 조작 기술 등을 활용하여 제품을 생산, 설치, 수리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이 직업군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71 건설 및 관련 기능직, 전기 기술자 제외
  • 72 금속, 기계 및 관련 기능직
  • 73 수공예 및 인쇄 관련 기능직
  • 74 전기 및 전자 관련 기능직
  • 75 식품 가공, 목공, 의류 및 기타 수공예 및 관련 기능직


이 분류는 건설, 금속, 기계, 수공예, 인쇄, 전기, 전자, 식품 가공, 목공, 의류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한국에서는 제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숙련 기능 인력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1]

2. 7. 1. 건설 및 관련 기능직, 전기 기술자 제외

건설 및 관련 기능직은 건축물, 시설물 등의 건설, 설치, 유지보수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전기 기술자는 이 분류에서 제외된다.

  • 711: 건물 골조 및 관련 기능직
  • 712: 건축 마감 및 관련 기능직
  • 713: 도장공, 건물 청소원 및 관련 기능직

2. 7. 2. 금속, 기계 및 관련 기능직

금속, 기계 및 관련 기능직은 금속 가공, 기계 조립, 설치, 수리 등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 72 금속, 기계 및 관련 기능직
  • * 721 판금 및 구조 금속공, 주형공 및 용접공, 관련 기능직
  • * 722 대장장이, 공구 제작자 및 관련 기능직
  • * 723 기계 정비 및 수리원

2. 7. 3. 수공예 및 인쇄 관련 기능직

수공예 및 인쇄 관련 기능직에는 수공예품 제작, 인쇄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 포함된다.

  • 73 수공예 및 인쇄 관련 기능직
  • * 731 수공예 종사자
  • * 732 인쇄 관련 기능직

2. 7. 4. 전기 및 전자 관련 기능직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에서 전기 및 전자 관련 기능직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대분류중분류
74전기·전자기기 관련 직업 종사자
741전기 설비 설치공·수리공
742통신 장비 설치공·수리공



이들은 전기 설비, 전자 기기 등의 설치, 수리, 유지보수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2. 7. 5. 식품 가공, 목공, 의류 및 기타 수공예 및 관련 기능직

대분류중분류
75식품 가공, 목공, 의류 및 기타 수공예 및 관련 기능직
751식품 가공 및 관련 기능직
752목재 처리원, 가구 제작자 및 관련 기능직
753의류 및 관련 기능직
754기타 수공예 및 관련 기능직


2. 8. 설비 및 기계 조작원 및 조립원 (Plant and Machine Operators, and Assemblers)

국제 표준 직업 분류에서 설비 및 기계 조작원 및 조립원은 산업 현장에서 기계, 장비 등을 조작, 운전, 조립하는 직업군이다. 크게 고정 설비 및 기계 조작원, 조립원, 운전기사 및 이동 플랜트 조작원으로 나뉜다.

  • 81 고정 플랜트 및 기계 조작원: 광업, 금속 처리, 화학 제품, 섬유 제품, 식품, 목재 가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고정식 기계 및 장비를 운전하고 제어한다.
  • 82 조립원: 여러 부품을 조립하여 완제품을 생산한다.
  • 83 운전기사 및 이동 플랜트 조작원: 기관차, 승용차, 트럭, 버스, 중장비, 선박 등 다양한 운송 수단 및 이동식 장비를 운전한다.

2. 8. 1. 고정 설비 및 기계 조작원

고정 설비 및 기계 조작원은 광산, 공장 등에서 고정된 설비, 기계 등을 조작, 운전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코드직업 분류
811광업 및 광물 처리 플랜트 조작원
812금속 처리 및 마감 플랜트 조작원
813화학 및 사진 제품 플랜트 및 기계 조작원
814고무, 플라스틱 및 종이 제품 기계 조작원
815섬유, 모피 및 가죽 제품 기계 조작원
816식품 및 관련 제품 기계 조작원
817목재 가공 및 제지 플랜트 조작원
818기타 고정 플랜트 및 기계 조작원


2. 8. 2. 조립원

조립원은 부품, 제품 등을 조립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2. 8. 3. 운전기사 및 이동 플랜트 조작원


  • 83 운전기사 및 이동 플랜트 조작원
  • * 831 기관차 운전사 및 관련 작업자
  • * 832 승용차, 밴 및 오토바이 운전사
  • * 833 대형 트럭버스 운전사
  • * 834 이동 플랜트 조작원
  • * 835 선박 갑판 승무원 및 관련 작업자

2. 9. 단순 노무 종사자 (Elementary Occupations)

단순 노무 종사자는 주로 육체적인 노동을 필요로 하며,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이 직업군은 특별한 기술이나 경력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08)에서는 단순 노무 종사자를 9번으로 분류한다.

단순 노무 종사자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91 청소원 및 도우미
  • 92 농림어업 작업자
  • 93 광업·건설업·제조업·운수업 작업자
  • 94 식사 준비 보조자
  • 95 거리 등의 판매원, 서비스 종사자
  • 96 쓰레기 작업자 및 기타 단순 노동자

2. 9. 1. 청소원 및 보조원

청소, 정리 정돈 등 단순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 91 청소원 및 보조원
  • 911 가정, 호텔 및 사무실 청소원 및 보조원
  • 912 차량, 창문, 세탁 및 기타 손 청소 작업자

2. 9. 2. 농업, 임업 및 어업 노동자

농업, 임업 및 어업 노동자는 농업, 임업, 어업 분야에서 단순 노동을 제공하는 직업군이다.[1]

대분류 코드소분류 코드설명
92921농림어업 작업자[1]


2. 9. 3. 광업, 건설, 제조업 및 운송 노동자

광업, 건설 현장, 공장, 운송 현장 등에서 단순 노동을 제공하는 직업군이다.

코드설명
931광업 및 건설 노동자
932제조업 노동자
933운송 및 보관 노동자


2. 9. 4. 식품 준비 보조원

식품 준비 보조원은 음식점, 급식소 등에서 음식 준비를 보조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08)에서는 '941'로 분류되며, '94 식품 준비 보조원'에 속한다.[1]

2. 9. 5. 거리 및 관련 판매 및 서비스 근로자

거리 및 관련 판매 및 서비스 근로자는 거리, 시장 등에서 단순 판매, 서비스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 95 거리 등의 판매원, 서비스 종사자
  • 951 거리 등의 서비스 종사자
  • 952 노점상 (식품 제외)

2. 9. 6. 쓰레기 처리원 및 기타 단순 작업자

쓰레기 수집 및 처리와 관련된 단순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 961 쓰레기 처리원: 쓰레기를 수거하고 처리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 962 기타 단순 작업자: 그 외 분류되지 않은 단순 작업들을 수행한다.

2. 10. 군인 (Armed Forces Occupations)

군인은 군대에서 복무하며 국가 안보를 담당하는 직업군이다.[1] 한국은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일정 연령 이상의 남성은 병역 의무를 수행해야 한다.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08)에서 군인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대분류 코드소분류 코드직업명
1011011사관
1021021하사관
1031031다른 계급의 군인



장교는 군대의 지휘관이고, 부사관은 장교를 보좌하며, 기타 병과는 일반 병사를 의미한다.

2. 10. 1. 장교 (Commissioned Officers)

장교는 군대의 지휘관으로서 부대를 지휘하고 통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1]

대분류 코드소분류 코드직업명
01011장교


2. 10. 2. 부사관 (Non-Commissioned Officers)

부사관장교를 보좌하고 병사를 지휘, 교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직업군이다.

2. 10. 3. 기타 병과 (Other Ranks)

기타 병과는 장교, 부사관을 제외한 일반 병사들을 의미하는 직업군이다.

3. 목적

국제노동기구(ILO)는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8][9]

: ISCO는 직업에서 수행하는 직무(태스크)에 따라 명확하게 정의된 직업군으로 직업을 분류하기 위한 수단이며, 통계에 이용되거나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만들어졌다. 이는 단기간 또는 장기간의 국가 간 노동자 전출입 관리나 직업 교육 프로그램 및 직업 지침 관리를 필요로 하는 구인에서 구직자에게도 적용된다.

ISCO는 교육, 농업, 헬스케어 정보 산업과 같은 특정 분야에서 응용되는 분류이자, 많은 국가 직업 분류의 기초가 된다.[10] 향후 개정될 ISCO-08은 전 세계 노동 관련 정보의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예를 들어 2010년 전 지구적 국가 인구 센서스에 적용된다.[11][12]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international family of economic and social classifications https://unstats.un.o[...]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2011-03-29
[2]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http://www.ilo.org/p[...]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11-03-29
[3] 웹사이트 Classifying health workers: Mapping occupations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03-29
[4] 간행물 Boundaries of the health workforc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s of health workers.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2009
[5] 웹사이트 2010 World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Programme http://unstats.un.or[...]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2011-03-29
[6] 간행물 Resolution Concerning Updat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2007-12-06
[7] 웹사이트 List of international family of economic and social classifications http://unstats.un.or[...]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2011-03-29
[8]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http://www.ilo.org/p[...]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11-03-29
[9] 문서 注: 本記事中の訳文は当記事の編集者による拙訳。原文は[[:en: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英語版]]を参照。
[10] 웹사이트 Classifying health workers: Mapping occupations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03-29
[11] 간행물 Boundaries of the health workforc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s of health workers.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2009
[12] 웹사이트 2010 World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Programme http://unstats.un.or[...]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2011-03-29
[13] 웹사이트 参考: 国際標準職業分類 (ISCO) 2008年改定版 (仮訳) http://www.stat.go.j[...] 2012-05-19
[14] 간행물 Resolution Concerning Updat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2007-12-06
[15] 웹사이트 List of international family of economic and social classifications https://unstats.un.o[...]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2011-03-29
[16]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http://www.ilo.org/p[...]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11-03-29
[17] 웹사이트 Classifying health workers: Mapping occupations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03-29
[18] 간행물 Boundaries of the health workforc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s of health workers.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2009
[19] 웹사이트 2010 World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Programme http://unstats.un.or[...]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2011-03-29
[20] 간행물 Resolution Concerning Updat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2007-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